본문 바로가기
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집단사고(Groupthink)의 이해와 효과적인 극복 방안

by 인사잘하자 2025. 7. 6.
반응형

[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시험 2013년 기출 문제]

문제: 집단의사결정 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집단사고(groupthink)의 개념과 주요 증상,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집단의사결정 기법 3가지를 논하시오. (30점)
문제 유형: 논술형
배점: 30점

합리적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집단사고의 폐해를 극복하는 전략적 접근

[모범 답안]

서론

현대 조직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효과적인 문제 해결과 혁신을 위해 집단의사결정을 활발히 활용합니다. 여러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여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집단의사결정 과정에서는 ‘집단사고(Groupthink)’와 같은 역기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집단사고는 응집력이 높은 집단에서 만장일치를 추구하려는 압력 때문에 비판적인 사고나 대안적 의견 제시가 억압되어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초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본 답안에서는 집단사고의 개념과 주요 증상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집단의사결정 기법 3가지를 논하고자 합니다.

본론

1. 집단사고(Groupthink)의 개념

집단사고(Groupthink)는 사회 심리학자 어빙 재니스(Irving Janis)가 제시한 개념으로, 응집력이 강한 집단이 합리적인 의사결정보다 집단 내의 동의와 일치성을 우선시하여 비판적인 평가나 현실적인 대안 검토를 소홀히 함으로써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외부의 위협에 직면하거나, 리더의 영향력이 강하고, 집단 구성원들이 높은 응집력을 가질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집단사고가 발생하면 집단은 자신들의 결정이 완벽하다는 환상에 빠져 외부 정보나 비판에 둔감해지고, 결국 치명적인 실패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2. 집단사고의 주요 증상

재니스는 집단사고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여덟 가지 주요 증상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1. 과대평가에 의한 환상 (Overestimation of the Group)

  • 1) 무오류의 환상(Illusion of Invulnerability): 집단이 자신들은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는 비현실적인 낙관주의에 빠져 지나치게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2) 집단의 도덕성에 대한 맹신(Belief in Inherent Morality of the Group): 집단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결정이나 목표가 도덕적으로 옳다고 맹신하여, 윤리적 딜레마나 비판적 시각을 무시합니다.

2.2. 폐쇄적인 사고방식 (Closed-mindedness)

  • 3) 합리화(Rationalization): 집단이 내린 결정에 반대되는 경고나 부정적인 피드백을 무시하거나 합리화하여 스스로의 결정을 정당화합니다.
  • 4) 외부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Stereotypes of Out-groups): 반대 의견을 가진 외부 집단이나 경쟁자를 무능하거나 악의적이라고 비하함으로써 그들의 의견을 들을 가치가 없다고 판단합니다.

2.3. 획일성을 향한 압력 (Pressures toward Uniformity)

  • 5) 동조 압력(Pressure on Dissenters): 집단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구성원에게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여 침묵을 강요하고, 이들이 이의를 제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 6) 자기 검열(Self-censorship): 구성원들이 자신의 비판적인 의견이나 의구심이 집단 전체의 합의를 깨뜨릴까 봐 스스로 검열하고 표현하지 않습니다.
  • 7) 만장일치의 환상(Illusion of Unanimity): 자기 검열과 동조 압력으로 인해 모든 구성원이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다고 착각합니다. 침묵을 동의로 간주합니다.
  • 8) 정신 경비대(Mindguards): 일부 구성원이 리더나 집단이 불편해할 수 있는 정보나 반대 의견이 집단 내로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막는 역할을 합니다.

3. 집단사고를 극복할 수 있는 집단의사결정 기법 3가지

집단사고의 폐해를 막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3.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 개념: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상하도록 장려하여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기법입니다. 판단이나 비판을 유보하고, 양적으로 많은 아이디어를 내는 데 집중합니다.
  • 극복 효과: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 비판을 금지함으로써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검열과 동조 압력을 완화합니다. 이질적인 아이디어의 조합을 통해 획일적인 사고방식을 깨고 다양한 관점을 탐색하게 합니다.
  • 진행 방법:
    1. 규칙 설명: 비판 금지, 자유로운 발언, 많은 아이디어, 아이디어 조합 및 개선.
    2. 참가자들이 돌아가면서 또는 자유롭게 아이디어 제시.
    3. 모든 아이디어를 기록하고, 아이디어 생성이 멈출 때까지 계속 진행.
    4. 아이디어 생성 후 평가 및 분류 단계로 이행.

3.2. 명목 집단 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 NGT)

  • 개념: 집단 구성원들이 대면하여 모이지만,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는 개별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이후 공유 및 토론을 통해 평가하는 구조화된 기법입니다.
  • 극복 효과: 초기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사고할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독자적인 의견을 존중하고, 소수의 의견이 다수의 의견에 묻히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익명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어 동조 압력을 감소시키고 자기 검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진행 방법:
    1. 문제 제시 및 설명.
    2. 개별적으로 아이디어 침묵적으로 작성 (5~10분).
    3. 작성된 아이디어를 돌아가면서 한 사람씩 발표 (중복 아이디어도 발표).
    4. 발표된 아이디어에 대해 질의응답 및 토론 (의견 교환).
    5. 개별적으로 아이디어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투표 등) 및 순위 집계.

3.3. 델파이 기법 (Delphi Technique)

  • 개념: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특정 주제에 대한 의견을 반복적으로 수렴하고 익명성을 보장하며 합의를 도출해 나가는 기법입니다. 대면 접촉 없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의견을 교환합니다.
  • 극복 효과: 참여자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강력한 리더십이나 특정 인물의 영향력에 의한 동조 압력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익명성 보장으로 인해 솔직하고 비판적인 의견 제시가 가능해지며, 자기 검열을 방지합니다. 여러 차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의견 수렴의 폭을 넓히고 합리적인 합의를 유도합니다.
  • 진행 방법:
    1. 문제 정의 및 전문가 집단 선정.
    2. 1차 설문지 배포 및 회수 (익명).
    3. 1차 설문 결과 취합 및 요약, 2차 설문지 작성 (평균, 표준편차 등 통계 정보 포함).
    4. 2차 설문지 배포 및 회수 (1차 결과를 참조하여 의견 재조정).
    5. 이 과정을 합의가 도출될 때까지 반복.

결론

집단사고는 조직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저해하고 심각한 실패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현상입니다. 이는 무오류의 환상, 도덕적 맹신, 합리화, 동조 압력, 자기 검열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집단사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자유로운 아이디어 발상, 명목 집단 기법을 통한 개별 의견 존중과 구조화된 토론, 그리고 델파이 기법을 통한 익명성과 반복적인 의견 수렴 등 다양한 집단의사결정 기법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활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집단의 응집력을 유지하면서도 비판적 사고를 장려하고, 다양한 대안을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조직이 보다 현명하고 성공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핵심 요약]

  • 집단사고(Groupthink) 개념: 응집력 높은 집단이 만장일치 추구로 비판적 사고 억압, 비합리적 결정 초래 현상.
  • 주요 증상:
    • 과대평가에 의한 환상: 무오류의 환상, 집단의 도덕성에 대한 맹신.
    • 폐쇄적인 사고방식: 합리화, 외부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 획일성을 향한 압력: 동조 압력, 자기 검열, 만장일치의 환상, 정신 경비대.
  • 집단사고 극복 집단의사결정 기법:
    • 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비판 유보, 자유로운 아이디어 발상으로 자기 검열/동조 압력 완화.
    • 2) 명목 집단 기법 (Nominal Group Technique, NGT): 개별 아이디어 생성, 익명성 보장으로 소수 의견 보호, 동조 압력 감소.
    • 3) 델파이 기법 (Delphi Technique): 익명성 기반 반복적 설문으로 의견 수렴, 직접 상호작용 차단으로 리더 영향력 배제.

[암기 카드]

구분 핵심 내용
집단사고 개념 응집력 높은 집단의 비합리적 의사결정 (만장일치 압력)
주요 증상 과대평가: 무오류 환상, 도덕성 맹신
  폐쇄적 사고: 합리화, 외부 고정관념
  획일성 압력: 동조 압력, 자기 검열, 만장일치 환상, 정신 경비대
극복 기법 3가지 1. 브레인스토밍: 자유 발상, 비판 금지
  2. 명목 집단: 개별 아이디어, 익명 보장
  3. 델파이: 익명 반복 설문, 직접 접촉 X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