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시험 2013년 기출문제]
문제: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의 개념과 4가지 구성요소를 설명하시오. (10점)
문제 유형: 약술형
배점: 10점
[모범 답안]
서론
경쟁이 심화되는 현대 조직 환경에서 기업들은 인적자원의 역량 개발뿐만 아니라,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과 긍정적인 태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ap)은 이러한 맥락에서 제안된 개념으로, 긍정적인 심리 상태를 통해 개인의 성과 향상과 조직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자본을 의미합니다. 본 답안에서는 긍정심리자본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를 구성하는 네 가지 핵심 요소에 대해 약술하고자 합니다.
본론
1.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의 개념
긍정심리자본은 긍정 조직 행동(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POB)의 연구 분야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투자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들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이는 희망(Hope), 자기효능감(Self-efficacy), 회복탄력성(Resilience), 낙관주의(Optimism)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 요소들이 시너지를 발휘하여 개인의 성과, 직무 만족도, 조직 몰입도 향상에 기여한다고 봅니다. 긍정심리자본은 단순히 타고난 성격 특성이 아니라,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직 관리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 긍정심리자본의 4가지 구성요소
긍정심리자본은 다음의 네 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가집니다.
- 1) 희망 (Hope):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로(경로적 사고)와 그 경로를 따라갈 수 있다는 의지(주체적 사고)를 모두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동기 부여 상태를 의미합니다. 희망이 높은 사람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좌절하기보다는 대안적인 방법을 찾고,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합니다.
- 예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찾아낼 수 있고, 그 방법들을 실행할 의지가 있다."
- 2)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특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의미합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어려운 도전 과제에 직면했을 때도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며,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는 성공적인 경험,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등을 통해 강화될 수 있습니다.
- 예시: "나는 어려운 과업도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다."
- 3) 회복탄력성 (Resilience): 역경, 불확실성, 갈등, 실패, 긍정적인 변화 및 증가된 책임감과 같은 역경과 시련으로부터 다시 회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빠르게 회복하여 이전보다 더 강해질 수 있습니다.
- 예시: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이를 통해 배우며 다시 일어설 수 있다."
- 4) 낙관주의 (Optimism):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하고, 긍정적인 사건은 영구적이고 보편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부정적인 사건은 일시적이고 특정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믿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낙관적인 사람은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면을 찾으려 노력하며, 이는 문제 해결과 스트레스 관리에도 도움이 됩니다.
- 예시: "앞으로 좋은 일들이 일어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결론
긍정심리자본은 희망,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주의라는 네 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통해 개인의 내재적 동기를 강화하고, 역경을 극복하며, 긍정적인 태도로 업무에 임하게 하는 중요한 심리적 자본입니다. 이러한 긍정심리자본은 개인의 성과 향상뿐만 아니라, 조직의 생산성 증진, 직무 만족도 개선, 스트레스 감소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인재 채용 시 긍정심리자본 요소를 고려하고, 교육 및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을 함양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핵심 요약]
- 긍정심리자본(PsyCap) 개념: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개발될 수 있는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들의 조합. (희망,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주의)
- 4가지 구성요소:
- 희망 (Hope): 목표 달성을 위한 경로와 의지.
-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특정 과업 성공 수행 능력에 대한 확신.
- 회복탄력성 (Resilience): 역경으로부터 회복하고 성장하는 능력.
- 낙관주의 (Optimism):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 긍정적/부정적 사건 원인 귀인 방식.
[암기 카드]
구분 | 긍정심리자본 (PsyCap) |
---|---|
개념 | 개인 성장을 위한 긍정적 심리 특성 조합 |
4가지 요소 | 1. 희망: 목표 경로 + 의지 |
2. 자기효능감: 과업 성공 능력 확신 | |
3. 회복탄력성: 역경에서 회복/성장 능력 | |
4. 낙관주의: 미래 긍정적 기대 (긍정적 귀인 방식) |
'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몰입: 직원의 충성도를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0) | 2025.07.06 |
---|---|
목표설정이론: 성과를 이끄는 목표의 힘 (0) | 2025.07.06 |
직무특성모형과 직무충실화: 동기 부여를 통한 성과 향상 전략 (1) | 2025.07.06 |
집단사고(Groupthink)의 이해와 효과적인 극복 방안 (0) | 2025.07.06 |
스톡옵션: 동기 부여와 위험 요소를 동시에 지닌 보상 제도 (0) | 2025.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