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시험 - 2016년 기출 문제]
- 문제: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의 개념과 감정노동 시 나타나는 감정표현 3가지를 설명하시오.
- 문제 유형: 약술형
- 배점: 10점
[모범 답안]
서론
현대 서비스 경제에서 고객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기업 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은 서비스 품질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직무 만족 및 심리적 안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감정노동은 단순히 표면적인 미소나 친절을 넘어, 직무 수행을 위해 특정 감정 상태를 연출하고 관리해야 하는 업무의 한 형태입니다. 특히 고객을 직접 대면하는 직무에서는 감정노동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며,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의 출발점이 됩니다.
본론
1. 감정노동의 개념
감정노동은 1983년 사회학자 앨리 러셀 혹실드(Arlie Russell Hochschild)가 저서 "관리된 마음(The Managed Heart)"에서 처음 제시한 개념입니다. 그녀는 감정노동을 "임금을 받기 위해 공적으로 관찰 가능한 표정이나 몸짓을 조절하는 행위"라고 정의했습니다. 즉, 감정노동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적절한 감정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외적으로 표현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이는 단순히 내면의 감정을 표출하는 것을 넘어, 조직의 규범이나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감정노동 시 나타나는 감정표현 3가지
감정노동 상황에서 종업원들은 내면의 실제 감정과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감정표현 전략을 사용합니다. 혹실드는 이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했습니다.
- 표면행위(Surface Acting)
표면행위는 내면의 실제 감정은 유지한 채,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감정(조직의 '감정표현 규칙')을 외적으로만 연기하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에게 불쾌감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미소를 지으며 친절하게 응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는 마치 배우가 무대 위에서 배역에 맞는 감정을 연기하는 것과 유사하여 '가면 연기'라고도 불립니다. 표면행위는 단기적으로는 감정적 소모를 줄일 수 있지만, 내면과 외부 표현 간의 괴리에서 오는 감정 부조화(emotional dissonance)를 야기하여 장기적으로는 직무 스트레스, 소진(burnout), 직무 불만족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내면행위(Deep Acting)
내면행위는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감정표현 규칙에 맞추기 위해 자신의 실제 내면 감정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입니다. 이는 억지로 미소를 짓는 것이 아니라, 진심으로 고객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려고 노력하거나,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하여 부정적인 감정을 긍정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불평하는 고객을 보며 '저 고객도 나름의 사정이 있을 거야'라고 생각하며 연민이나 이해의 감정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내면행위는 표면행위에 비해 감정 부조화를 줄여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내면 감정을 지속적으로 조절해야 한다는 점에서 높은 인지적 노력을 요구하며, 실패 시 역시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자연스러운 감정표현(Genuine/Natural Expression)
자연스러운 감정표현은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감정표현 규칙과 자신의 실제 내면 감정이 일치하여 별다른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감정 부조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감정적 소모가 가장 적고, 종업원의 직무 만족도와 정신 건강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을 진심으로 돕고 싶은 마음이 들어 자연스럽게 미소 짓고 친절하게 응대하는 상황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기업은 직무 특성과 직원의 성향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자연스러운 감정표현이 이루어지도록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직무 재설계를 통해 감정 부조화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결론
감정노동은 서비스 산업의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종업원에게 상당한 심리적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표면행위, 내면행위, 그리고 자연스러운 감정표현이라는 세 가지 감정표현 전략에 대한 이해는 감정노동의 본질을 파악하고, 직원의 감정적 소진을 예방하며, 궁극적으로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기업은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직원의 감정 관리를 지원하며, 건강한 조직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감정노동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핵심 요약]
- 감정노동 개념: 임금을 위해 공적으로 관찰 가능한 표정/몸짓 조절 행위 (혹실드, 1983). 직무상 요구되는 감정 유지 및 외적 표현을 통한 조직 목표 기여.
- 감정표현 3가지:
- 표면행위 (Surface Acting): 실제 감정 유지, 외적으로만 직무 요구 감정 연기. 감정 부조화 유발, 장기적 스트레스/소진 가능성.
- 내면행위 (Deep Acting): 내면 감정을 직무 요구 감정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 인지적 노력 요구, 감정 부조화 감소 가능성.
- 자연스러운 감정표현 (Genuine/Natural Expression): 실제 감정과 직무 감정 일치, 노력 없이 자연스러운 표현. 감정 소모 최소, 직무 만족/정신 건강에 긍정적.
[암기 카드]
구분 | 개념 | 특징 |
---|---|---|
감정노동 | 임금을 위해 공적으로 관찰 가능한 표정/몸짓 조절 | 직무상 요구되는 감정 유지 및 표현 |
표면행위 | 실제 감정 유지, 외적 연기 | 감정 부조화, 스트레스, 소진 유발 |
내면행위 | 실제 감정을 직무 감정에 맞게 변화 노력 | 높은 인지 노력, 감정 부조화 감소 |
자연스러운 감정표현 | 실제 감정과 직무 감정 일치, 자연스러운 표현 | 감정 소모 최소, 직무 만족 및 정신 건강에 긍정적 |
'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체협약 효력확장의 이해: 노동법상 의의와 일반적·지역적 구속력 심층 분석 (1) | 2025.07.04 |
---|---|
집단 의사결정의 효과를 높이는 명목집단법: 단계별 특징과 장단점 분석 (0) | 2025.07.04 |
허즈버그(F. Herzberg)의 이요인이론(Two-Factor Theory) 설명 (0) | 2025.07.03 |
LMX(Leader-Member Exchange) 이론의 내집단과 외집단 개념 및 문제점 (1) | 2025.07.03 |
르윈(K. Lewin)의 조직변화 3단계 모형: 단계별 개념 및 추진 방안 (2) | 2025.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