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응집력과 생산성: 성과 관련 규범의 역할
[경영지도사 인적자원관리 2차 시험 - 2018년 기출문제]
문제: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의 개념을 기술하고, 집단응집력과 생산성 간의 관계를 집단의 성과관련 규범과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배점: 10점
문제유형: 약술형
[모범 답안]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의 개념 및 생산성과의 관계
Ⅰ. 서론
조직 내 팀워크와 집단 역량은 생산성 및 성과 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과정에서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은 집단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기능하는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집단응집력은 구성원들이 집단에 매력을 느끼고 집단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려는 정도를 나타내며, 이는 곧 집단 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본 답안에서는 집단응집력의 개념을 기술하고, 더 나아가 집단응집력이 집단의 성과 관련 규범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Ⅱ.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의 개념
집단응집력은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매력을 느끼고, 집단에 머무르기를 원하며, 집단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려는 경향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집단 구성원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 집단 목표에 대한 일치감, 그리고 집단에 대한 소속감의 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응집력이 높은 집단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집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집단의 성공을 개인의 성공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Ⅲ. 집단응집력과 생산성 간의 관계 (성과 관련 규범과 관련하여)
집단응집력은 그 자체로 생산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집단이 내재하고 있는 '성과 관련 규범(performance-related norms)'의 방향성에 따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 성과 관련 규범이란 집단 구성원들이 업무 수행에 있어 적절하다고 여기는 성과 수준이나 행동 기준을 의미합니다. 집단응집력과 생산성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시나리오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응집력 높음 & 성과 규범 높음:
- 집단응집력이 높고, 동시에 집단이 높은 성과 목표와 기준을 지향하는 규범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집단의 생산성은 매우 높아집니다. 구성원들은 서로 강하게 결속되어 있고, 집단이 설정한 높은 성과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이상적인 집단의 모습입니다.
- 응집력 높음 & 성과 규범 낮음:
- 집단응집력은 높지만, 집단이 낮은 성과 목표나 안주하는 규범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집단의 생산성은 오히려 낮아집니다. 구성원들은 집단에 대한 소속감이 강해 집단의 규범에 순응하려 하지만, 그 규범 자체가 낮은 성과를 지향하므로 집단 역량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합니다. 일명 '생산성 저해 집단'이 될 수 있습니다.
- 응집력 낮음 & 성과 규범 높음:
- 집단응집력은 낮지만, 집단이 높은 성과 규범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집단의 생산성은 보통 수준이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습니다. 일부 구성원들은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노력하지만, 집단 전체의 결속력이 부족하여 응집된 힘을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개인의 노력은 있을 수 있으나, 시너지가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 응집력 낮음 & 성과 규범 낮음:
- 집단응집력과 성과 관련 규범이 모두 낮을 때, 이 집단의 생산성은 매우 낮아집니다. 구성원들은 집단에 대한 유대감도 없고, 업무 성과에 대한 기대치도 낮으므로, 집단으로서의 기능이 거의 발휘되지 않아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Ⅳ. 결론
집단응집력은 집단의 결속력과 구성원들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것이 곧바로 높은 생산성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집단응집력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집단이 동시에 '높은 성과 관련 규범'을 공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즉, 응집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그 집단의 성과 규범이 무엇인지가 생산성 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직 관리자는 집단응집력을 높이는 동시에, 집단이 높은 성과를 지향하는 건강한 규범을 형성하고 유지하도록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집단 역량이 조직의 목표 달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 집단응집력(Group Cohesiveness):
- 개념: 구성원들이 집단에 매력을 느끼고, 집단에 머무르며, 목표 달성 위해 함께 노력하려는 경향성. 정서적 유대감, 목표 일치감, 소속감의 총체.
- 집단응집력과 생산성 간의 관계 (성과 관련 규범과 관련하여):
- 성과 관련 규범: 집단 구성원들이 적절하다고 여기는 업무 수행 성과 수준/행동 기준.
- 관계 시나리오:
- 응집력 높음 & 성과 규범 높음: 생산성 매우 높음 (이상적).
- 응집력 높음 & 성과 규범 낮음: 생산성 낮음 (생산성 저해 집단).
- 응집력 낮음 & 성과 규범 높음: 생산성 보통/불규칙적.
- 응집력 낮음 & 성과 규범 낮음: 생산성 매우 낮음.
- 시사점: 집단응집력만으로 생산성 보장X. 높은 성과 규범과 결합될 때 긍정적 영향.
[암기 카드]
개념 | 집단응집력 (Group Cohesiveness) |
---|---|
의미 | 구성원의 상호 매력, 집단 잔류 욕구, 목표 노력 경향 |
핵심 | 정서적 유대, 목표 일치, 소속감 |
생산성 관계 (성과 규범 고려) | 응집력 높음 | 응집력 낮음 |
---|---|---|
성과 규범 높음 | 매우 높음 | 보통/불규칙적 |
성과 규범 낮음 | 낮음 | 매우 낮음 |